
[경산=뉴시스] 박준 기자 = 영남대학교 신소재공학부 류정호 교수 연구팀은 차세대 반도체와 양자 컴퓨터 개발에 필요한 새로운 다기능 나노 소재 개발에 성공했다고 8일 밝혔다.
이번 개발한 소재는 전기와 자성을 서로 바꾸며 조절할 수 있다. 기존 다강체(전기를 가하면 자성이 바뀌고 자석을 가까이하면 전기 성질이 변하는 특별한 물질)의 한계를 뛰어넘은 성과로 주목받고 있다.류 교수 연구팀은 대표적인 다강체 소재인 BiFeO₃의 박막 안에 Ba(CuNb)O₃라는 물질을 나노미터(10억분의 1m) 크기로 배치해 소재 내부에 미세한 구조 변화를 일으켜 플렉소일렉트릭 효과(flexoelectric effect)라는 현상을 유도했다. 전기와 자기의 특성을 동시에 강화하는데 성공했다.
이 같은 특성 때문에 차세대 메모리 반도체나 양자 컴퓨터와 같은 미래 기술에 핵심적으로 활용될 소재로 주목 받고 있다.특히 상온에서도 강한 전기-자기 결합 특성을 확인함에 따라 저전력 고속 구동이 가능한 차세대 메모리 소자, 고감도 센서, 양자 소자 등에 폭넓은 산업적 활용이 기대된다.
연구 성과는 신소재 분야의 세계적 권위 학술지인 Advanced Functional Materials 2월26일자에 게재됐다.
해당 게시물에 음란물(아동 포함), 도박,광고가 있거나 바이러스, 사기파일이 첨부된 경우에 하단의 신고를 클릭해주세요.
단, 정상적인 게시물을 신고할 시 사이트 이용에 불이익을 받으실 수 있습니다.
yang120 님의 최근 커뮤니티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