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시아경제 기하영 기자]서울 구로구 콜센터에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 집단감염 사태가 발생하면서 금융권에도 비상이 걸렸다.
업종 특성상 콜센터 인력이 많은데다, 콜센터 직원들은 폐쇄된 공간에서 하루종일 말을 하며 근무해야하기 때문에 감염위험이 높기 때문이다. 
10일 금융권에 따르면 서울 신도림동 코리아빌딩 11층의 콜센터에서 일하는 직원·교육생과 그 가족 등 최소 50명이 초로나 19확진 판정을 받았다.
가족 접촉자를 제외한 확진환자 46명은 모두 11층 콜센터에서 근무한 것으로 확인돼 해당 콜센터 직원 207명에 대한 역학조사와 검체 검사가 진행중이다. 
콜센터는 독서실 같은 부스 구조로 공간이 좁다보니 사람 사이의 간격도 매우 가깝다.
하루종일 말을 하며 근무해야하기 때문에 각종 감염병 전염도 쉬운 밀집 공간이다.
마스크 착용을 권고하고 있지만 전화상담시 숨이 막혀 마스크 착용도 쉽지 않은 것으로 전해졌다.
그럼에도 개인정보 보호 문제로 재택근무도 어려운 상황이다.
콜센터 직원들은 고객이 전화를 걸어왔을 때 고객과 관련한 각종 개인정보를 보면서 응대하는데, 재택근무를 하면 이런 개인정보가 유출될 위험이 커진다. 
콜센터 상담원 절대다수가 파견직이나 도급직 등 비정규직 신분인 것도 문제로 지적된다.
고용 안정성이 떨어지는 신분이다 보니 코로나19 확진 등 상황에서 콜센터를 폐쇄하거나 인력을 감축하면 실직 위험이 정규직보다 크다. 
금융사들은 코로나19 확산 대응방안을 점검하는 등 대비에 나섰다.
대다수 금융사는 콜센터를 복수로 운영하고 있다.
신한은행은 강남과 인천, 우리은행은 본사와 천안으로 이원화돼 있다.
한 센터가 문을 닫아도 같은 업무를 수행하는 다른 센터가 있어 필수업무에 대해선 대응할 수 있다.
보험사들도 분산근무 체제을 운영하고 있다.
메리츠화재는 경기도 부천사옥과 부산사옥에서 직영하는 콜센터의 직원들을 이달 초 5∼6개 그룹으로 나눠 분산 근무하게 했다.
삼성화재의 경우 자회사 콜센터를 전국 6개 지역에 두고 평소에도 층간 분산 근무 체제를 운영하고 있다. 
서울, 안양, 원주, 전주 등의 콜센터에서 직원 1000여 명을 두고 있는 DB손해보험은 콜센터 직원 자택에 본사 콜 시스템에 접속할 수 있는 환경을 갖추고 이달 초 재택근무 체제에 들어갔다.
서울 강·남북과 대구에 콜센터를 운영하는 교보생명은 고객의 요청이 많은 업무를 담당하는 서울 강남 콜센터의 직원을 강북 콜센터로 이동 배치했다.
NH농협생명은 콜센터 직원 4분의 1 정도를 다른 사무공간으로 이동 배치했으며 사태가 악화되면 최대 30%까지 분산 근무하게 할 계획이다.
한화생명은 자동응답시스템(ARS)이나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앱)으로, 삼성카드는 챗봇으로 고객 상담 등의 업무를 볼 수 있게 했다.
KB국민카드는 서울과 대전으로 센터를 이원화 운영 중이다.
					해당 게시물에 음란물(아동 포함), 도박,광고가 있거나 바이러스, 사기파일이 첨부된 경우에 하단의 신고를 클릭해주세요.
					
					단, 정상적인 게시물을 신고할 시 사이트 이용에 불이익을 받으실 수 있습니다. 
					
마른하늘을 님의 최근 커뮤니티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