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최대 전자상거래 기업 아마존이 미국 정부의 인공지능(AI)과 슈퍼컴퓨터 인프라에 최대 500억달러(약 74조원)를 투자한다.
아마존은 이와 별도로 150억달러(약 22조원)를 지출해 인디애나주 북부에 데이터센터를 건설한다고도 밝혔다.아마존은 자사 클라우드 서비스 아마존웹서비스(AWS)에 정부 고객을 위해 1.3GW(기가와트) 규모 컴퓨팅 용량을 추가한다고 24일(현지시간) 밝혔다.정부 기관은 엔비디아 칩과 아마존의 자체 칩 '트레이니엄'을 장착한 AI 인프라를 통해 앤트로픽의 '클로드'와 아마존 '노바' 등 AI 모델을 사용하게 된다.아마존은 모델 훈련과 최적화를 위한 아마존 세이지메이커 AI와 모델·에이전트 배포를 위한 아마존 베드록 등 서비스도 제공한다.이번에 추가되는 용량은 내년에 구축을 시작할 계획이며, 각각 AWS의 '최고 기밀'(Top Secret)과 '기밀'(Secret), '정부클라우드(US)' 리전에 할당된다.이에 따라 정부 기관이 각 비밀 등급에 따른 자료를 AWS 클라우드를 통해 처리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아마존은 이번 용량 증설에 따라 정부 기관의 의사결정 속도가 빨라질 것이라고 강조했다.시뮬레이션과 모델링 등 작업을 AI와 통합해 몇 주~몇 달이 걸리던 작업을 몇 시간 안에 완수할 수 있다는 것이다.특히 국방과 정보 업무 영역에서 위성 영상, 센서 자료, 패턴 등을 전례 없는 규모로 처리해 위협을 자동으로 탐지하고 대응 계획을 생성할 수 있다고 아마존은 설명했다.맷 가먼 AWS 최고경영자(CEO)는 “이번 투자에 따라 정부 발전을 막아온 기술적 장벽을 제거하고 미국이 AI 시대를 선도할 수 있는 입지를 공고히 할 수 있을 것”이라며 “연방 기관이 슈퍼컴퓨팅을 활용하는 방식을 근본적으로 변화시킬 것”이라고 말했다.클라우드 1위 사업자인 AWS는 지금도 기관 1만1000여곳을 고객으로 둔 정부 기관 주요 공급업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