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근 10년 동안 통신장비(휴대폰) 가격은 급격하게 올랐지만, 통신비는 오히려 감소했다는 분석결과가 나왔다.
한국통신사업자연합회(KTOA)가 최근 발간한 ‘이동통신 산업·서비스 가이드북 2024’에 따르면 2013년 국내 가구당 월평균 통신장비 구입비는 8172원에 불과했지만, 2023년에는 2만7945원에 달한 것으로 나타났다. 10년 동안 1만9773원(242%) 오른 것이다.
반면, 월평균 통신서비스 비용은 2013년 12만2802원에서 9만9948원으로 2만2854원(-18.6%) 감소했다. 기존에 통신비가 가계에 부담이 된다는 인식과는 달리 10년새 통신비용은 오히려 줄어든 셈이다. 이번 분석은 통계청 가계동향조사(2012~2023년) 자료를 바탕으로 이뤄졌다.
같은 기간 오락·문화 비용은 64.9%나 상승하고, 보건(61.6%), 음식·숙박(53.3%), 교통(28.3%) 비용도 대폭 오른 것과 비교된다.
이같은 차이는 스마트폰 단말기 가격이 급격히 상승한 것이 주요한 요인으로 보인다. 단말기 평균가격은 2015년 55만4713원에서 연평균 4%씩 올라 2023년 7월에는 87만3597원으로 올랐다. 특히 2022~2023년 국내 출시 5G 단말기의 평균 가격은 140만원 이상이었다.
이에 가계에서 차지하는 단말기 구매 비용도 2011년 월평균 1만8600원에서 2022년 4만8600원으로 2.6배 증가했다. 가계 내 지출 비중으로 보면 2011년 12.2%에서 2022년 27.4%로 15.2%나 올라간 셈이다.
한국통신사업자연합회는 지난해 9월 국회토론회(데이터로 보는 가계통신비 시사점 및 바람직한 정책방향) 자료를 인용해 데이터 제공량에 따른 국내 통신요금이 주요국에 비해 저렴하다고 평가했다.
데이터 10GB 구간 월평균 통신요금을 보면, 일본이 9만2151원으로 가장 높았고, 이어 캐나다(7만2880원), 미국(6만8447원), 호주(4만8284원), 독일(4만7131원), 스웨덴(3만8178원) 등의 순이었다. 한국은 3만7000원 수준으로 평균(4만8502원)을 밑돌았다.
데이터 무제한 제공 구간에서도 한국의 통신비는 6만원으로 평균 8만6049원보다 낮았다. 독일이 11만7792원으로 가장 높았고, 캐나다(11만7729원), 미국(9만5825원), 일본(9만2151원), 프랑스(8만8384원), 호주(8만7699원), 스웨덴(7만6484원) 등이 뒤를 이었다.
한국통신사업자연합회는 “우리나라의 현재 통신산업 수준이 해외 주요국과 비교 시, 네트워크 품질은 높고 이용자 요금 부담은 낮다”며 “객관적인 비교와 진단을 통해 통신 시장의 평가가 이루어져야 한다”고 설명했다.
해당 게시물에 음란물(아동 포함), 도박,광고가 있거나 바이러스, 사기파일이 첨부된 경우에 하단의 신고를 클릭해주세요.
단, 정상적인 게시물을 신고할 시 사이트 이용에 불이익을 받으실 수 있습니다.
ㅇㅅㅎ04 님의 최근 커뮤니티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