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빵모자 대신 베레모를 쓰고 승객을 맞이한 안씨는 대전 빵 안내 책자와 취식을 위한 일회용 접시 및 포크, 보냉가방이 담긴 '웰컴키트'를 건넸다.
메뉴판에 있는 빵 투어 추천코스는 빵돌이·빵순이들의 취향을 저격하기 위해 고심한 흔적이 느껴졌다.
안씨의 빵택시는 아직 베타 테스트(?) 중이다.
안씨는 "아직 완성형 모습이 아니고 시범 운영하면서 앞으로 더 체계적이고 완벽한 모습으로 만들어 나갈 예정"이라고 말했다.
빵택시 모티브는 일본 가가와현 '우동 택시'에서 따왔다고 한다.
20여년간 여행업계에서 근무하며 여러나라를 가본 안씨는 우동택시만큼 체계적이고 브랜드화된 관광 택시는 본 적이 없다고 했다.
안씨는 "(우동택시를) 처음 봤을 때 정말 신박하다고 생각했다"며 "(빵택시가) 일본 우동택시를 따라잡을 만큼 콘텐츠가 탄탄해야 하기에 계획을 확실하게 세워서 시작했다"고 전했다.
이미지 확대
[촬영 강수환]
빵의 도시 대전에서 빵택시가 없는 게 이상하다고 생각한 안씨의 호기심은 행동으로까지 이어졌다.
승객이 이동하면서 택시에서 빵을 먹을 수 있도록 비행기와 기차에 있는 접이식 테이블을 빵택시에 접목했다.
제 버릇 개 못 준다는 말처럼 빵택시에는 여행업계에서 다년간 쌓아왔던 안씨의 경험과 노하우가 담겨 있다.
국내외 여행지를 답사하고 좋은 식당을 선별하며 여행코스를 직접 짰던 과거 경험처럼 안씨는 무작정 거리를 돌아다니며 맛있는 빵집을 발굴해낸다.
1년 6개월간 안씨가 직접 구상하고 두발로 직접 뛰며 시장 조사한 결과가 빵택시에 응축돼 있었다.
빵집의 모든 빵을 맛보고 손님이 사야만 하는 빵을 추리거나 빵집 줄 서는 시간을 줄이는 방법들을 고안해냈다.
3분 단위로 여행코스를 짰던 것처럼 빵집 간 거리와 이동시간, 구매 시간을 고려해 극강의 효율적인 코스를 구상했다.
[촬영 강수환]
택시 기사로 제2의 인생을 살게 된 안씨는 항상 승객의 만족도가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이는 여행업계에서 일할 때부터 안씨가 중요하게 생각했던 부분이다.
안씨는 "서비스업은 고객의 만족도를 충족시키는 것이 제일 중요하다고 생각하는데 승객들이 택시를 탈 때 '돈값 했다'고 느꼈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승객들이 돈이 아깝다는 생각이 들지 않게 택시 값어치를 높이기 위해 고민한 안씨가 개발한 것이 바로 이 빵택시였던 것이다.
"서비스는 디테일이 생명"이라고 말하는 안씨는 아직도 머릿속에 구상하고 있는 것들이 많다.
빵택시 형태가 더 완벽해지면 승객들 이름을 넣은 인증서를 제공하는 것을 구상하고 있다.
도쿄에 있는 빵집을 귀여운 그림과 함께 소개한 '냠냠도쿄'라는 책처럼 대전에 있는 빵집을 소개하는 책을 만드는 것도 안씨의 목표다.
"대전에는 빵 콘텐츠가 무궁무진하다고 봐요. 지금보다도 더 맛있는 빵집들이 더 생겨날 수밖에 없는 거죠. 빵택시가 더 커져서 언젠가는 일본 우동택시 기사들이 한국에 와서 빵택시를 타는 날이 오길 바래요."
안씨의 미소를 담은 대전 빵택시는 빵처럼 구수함을 내뿜으며 오늘도 달린다.
해당 게시물에 음란물(아동 포함), 도박,광고가 있거나 바이러스, 사기파일이 첨부된 경우에 하단의 신고를 클릭해주세요.
단, 정상적인 게시물을 신고할 시 사이트 이용에 불이익을 받으실 수 있습니다.
treeworld 님의 최근 커뮤니티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