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스마트폰·태블릿과 달리 PC 시장에서 5G 통신 기능이 아직도 자리를 잡지 못한 채 표류중이다. 설계 단계에서 '규모의 경제'를 고려해야 하는 PC 제조사와 5G/LTE 통신 기능의 장점을 체감하기 힘든 소비자들이 반기지 않기 때문이다.
시장조사업체 한국IDC는 "이미 와이파이, 스마트폰 핫스팟 등 대체재가 존재하며 일반 소비자는 통신비 부담 문제도 있어 5G 탑재 노트북의 시장 점유율은 5% 선에 그칠 것"이라고 전망했다.
■ 작년 국내 시장에 LTE·5G 지원 노트북 1만 4천 대 출하
한국IDC는 "지난 해 출하된 노트북 전체 물량 중 세계 시장과 국내 시장 모두 약 0.2%만 5G 통신 기능을 기본 탑재했다"고 설명했다. 이를 댓수로 환산하면 각각 42만 3천여 대, 7천여 대 수준이다.
전체 노트북 중 LTE 지원 제품의 비율은 세계 시장 기준 2.3%, 국내 시장 기준 0.2%로 약 486만 4천 대, 7천여 대에 그친다.
이런 현상이 벌어지는 이유에 대해 익명을 요구한 글로벌 PC 제조사 관계자는 "규모의 경제가 문제"라고 설명했다.
이 관계자는 "주요 시장조사업체 기준 빅5가 아닌 중소 규모 PC 제조사는 안테나 등 탑재를 위해 별도 기구물 등 설계가 필요한 5G 버전·와이파이 버전 제품을 동시에 개발할 수 없다"고 설명했다.
■ 인텔은 와이파이만 필수 규격으로 지정...5G·LTE는 '제조사 선택'
인텔은 2010년 8월 인피니언 모바일칩 사업부를 인수한 뒤 3년이 지난 2013년에야 첫 LTE 모뎀칩인 XMM 7160을 출시했다. 그러나 애플이 퀄컴과 화해한 직후 스마트폰용 5G 모뎀 사업 철수를 선언하고 해당 사업부를 애플에 다시 매각했다.
인텔은 지난 해 7월 미디어텍과 협력해 노트북용 5G 모뎀을 개발하고 이를 PC 제조사에 공급하겠다고 밝혔지만 반 년 이상이 지난 현재까지 이렇다 할 성과를 내지 못하고 있다.
올해 개정된 노트북 인증 프로그램인 이보(EVO) 4세대 기준에서도 6GHz 기반 와이파이6E는 필수지만 LTE나 5G 탑재는 필수가 아닌 선택이다.
퀄컴은 지난 2월 MWC 23에서 PC와 자동차에 탑재할 수 있는 5G 모뎀을 대거 출시했지만 PC 제조사가 올해 이를 노트북에 얼마나 탑재할 지는 의문이다.
■ 대체재·통신 요금 부담... 요금 현실화 필요
권상준 한국IDC 이사는 "LTE/5G 등 무선통신 기능을 탑재하면 어디서나 인터넷을 쓸 수 있지만 이미 공공 와이파이나 스마트폰 핫스팟(테더링) 등 대체재가 있다. 또 기업과 달리 일반 소비자는 노트북용 LTE/5G 통신 요금도 부담스러워 한다"고 지적했다.
그러나 통신 기능을 통합하는 것은 기존 와이파이 기능이 가진 공간 제약, 보안 등 요소를 해결할 수 있는 장점이기도 하다. 또 주요 PC 제조사는 기술력과 상품 가치를 강화할 수 있는 프리미엄 제품 위주로 5G 기능을 탑재한다.
권상준 이사는 "중장기적인 관점에서도 LTE·5G 등 탑재 제품 비율은 5%로 전망되며 시장 확대 여부는 경험 대비 데이터 통신 요금이 적정한 수준이 되는 것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해당 게시물에 음란물(아동 포함), 도박,광고가 있거나 바이러스, 사기파일이 첨부된 경우에 하단의 신고를 클릭해주세요.
단, 정상적인 게시물을 신고할 시 사이트 이용에 불이익을 받으실 수 있습니다.
또융 님의 최근 커뮤니티 글.